본문 바로가기
IT

🔒 인터넷 보안, 어렵지 않아요! SSH, SSL, TLS, HTTPS 쉽게 이해하기

by kwontory 2025. 7. 1.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인터넷을 사용할 때 꼭 알아야 할 보안 용어, 바로 SSH, SSL, TLS, HTTPS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드릴게요.  
이 글 하나만 읽으면, 더 이상 주소창의 자물쇠 아이콘이 낯설지 않을 거예요!



1. SSH: 원격 접속의 든든한 경비원

혹시 집에서 회사 컴퓨터에 접속해본 적 있으신가요?  
이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SSH(Secure Shell)입니다.

쉽게 말해, SSH는 '안전하게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는 비밀 통로'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예전에는 그냥 편지처럼 정보를 주고받았지만, 누군가 몰래 볼 수 있었죠.  
SSH는 이 편지를 '비밀 암호'로 바꿔서, 중간에 누가 훔쳐봐도 내용을 알 수 없게 해줍니다.

- 주로 어디에 쓰일까요?  
  개발자들이 서버에 접속할 때, 혹은 재택근무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2. SSL & TLS: 인터넷 대화에 자물쇠를 달다

SSL이란?

SSL(Secure Sockets Layer)은 인터넷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자물쇠'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더 강력한 버전인 TLS(Transport Layer Security)가 주로 쓰이고 있어요.

TLS는 뭐가 다를까요?

SSL이 오래되어 보안에 구멍이 생기자,  
그 구멍을 막고 더 튼튼하게 만든 것이 바로 TLS입니다.  
요즘은 대부분의 웹사이트가 SSL이 아닌 TLS를 사용하고 있어요.

- 정리하자면?  

  SSL = 예전 자물쇠  
  TLS = 최신 강화 자물쇠!

3. HTTPS: 우리가 매일 만나는 안전한 웹

웹사이트 주소창에 보면 http:// 대신 https://로 시작하는 사이트가 있죠?  
이게 바로 HTTPS입니다.

HTTPS란?  

HTTP(웹사이트와 대화하는 기본 언어)에 SSL/TLS라는 자물쇠를 달아  
'안전하게 대화하는 방법'이에요.

- 자물쇠 표시가 보이나요?  
  브라우저 주소창에 자물쇠 아이콘이 뜨면,  
  내 정보가 암호화되어 안전하게 전송된다는 뜻입니다!

4. 일상에서 이 기술들이 하는 일

- 온라인 쇼핑: 내 카드 정보가 안전하게 전달돼요.
- 인터넷 뱅킹: 내 계좌 정보가 보호받아요.
- 회사 원격 접속: SSH로 외부에서도 안전하게 회사 컴퓨터에 들어갈 수 있어요.


5. 실생활 꿀팁! 보안 잘 지키는 방법

5-1. 자물쇠 아이콘 꼭 확인하기  
   주소창에 자물쇠가 없다면, 중요한 정보는 입력하지 마세요!

5-2. https://로 시작하는지 체크  
   http://만 있는 사이트는 조심!

5-3. 공공 와이파이에서는 더 조심  
   꼭 HTTPS가 적용된 사이트만 이용하세요.

마치며

이제 SSH, SSL, TLS, HTTPS가 뭐하는 친구들인지 감이 오시나요?  
이 기술들 덕분에 우리는 매일 안전하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억하세요!  
자물쇠 아이콘과 https://만 잘 챙겨도  
여러분의 소중한 정보를 지킬 수 있습니다.  
오늘도 안전한 인터넷 생활 하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