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이재명 정부 부동산 대책, 서민에게 득일까 실일까?

by kwontory 2025. 6. 28.
반응형

요즘 부동산 뉴스 보셨나요? 이재명 정부가 2025년 6월 27일, 첫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어요. 집값이 너무 오르니까 대출을 확 줄이는 강수였는데, 과연 우리 서민들에게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오늘은 이 대책이 우리에게 어떤 득과 실을 주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쉽게 풀어드릴게요!




1. 이번 부동산 대책, 뭐가 달라졌나요?

- 수도권·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 원으로 제한!  
  이제 서울이나 수도권에서 집 살 때, 아무리 소득이 많아도 대출은 6억 원까지만 받을 수 있어요.

- 생애최초 주택구입자도 LTV 70%로 축소  
  집을 처음 사는 분들도 대출 비율이 80%→70%로 줄었고, 6개월 내 실거주해야 합니다.

- 다주택자는 주택담보대출 아예 금지!

- 정책대출(디딤돌·버팀목) 한도도 대폭 축소  
  전세대출도 보증비율이 90%→80%로 줄었어요.



2. 서민들에게 생기는 득과 실

🙁 손실(리스크)

- 내 집 마련, 더 어려워진다  
  서울 아파트 평균값이 11억이 넘는데, 대출 6억 원 한도가 생기니 집 살 때 자기 돈을 훨씬 더 많이 준비해야 해요.

- 전세도 힘들어진다  
  전세대출 보증비율이 줄어서, 전세 구하기가 더 힘들어질 수 있고, 월세로 전환하는 집도 많아질 수 있습니다.

- 주거비 부담이 커질 수 있다  
  대출이 줄면, 그만큼 목돈이 필요하니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죠.

🙂 이득(이익)

- 집값 상승세, 어느 정도 잡힐 수 있다  
  대출이 줄어드니 집을 사는 사람이 줄고, 투기세력도 빠져나가면서 집값이 진정될 수 있다는 기대가 있어요.

- 투기 수요 차단  
  실거주 목적이 아닌 갭투자 등 투기적 수요가 줄어들면, 실수요자에게 기회가 더 올 수 있습니다.

- 금융시스템 안정  
  가계부채가 너무 빠르게 늘어나는 걸 막아 금융위험을 줄일 수 있어요.

3.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 주거지역 다변화 고민  
  서울만 고집하지 말고, 수도권 외곽이나 교통 좋은 신도시 등 다양한 지역을 알아보세요.

- 자기자본 미리 준비  
  대출이 줄었으니, 내 자금 계획을 다시 세워야 해요. 청년·신혼부부 정책대출 등도 꼼꼼히 챙기세요.

- 월세 전환 대비  
  전세가 힘들어질 수 있으니, 월세 지원 정책이나 보조금도 알아보는 게 좋겠죠!

4. 앞으로의 전망과 과제

전문가들은 이번 대책이 단기적으로는 거래를 줄이고 집값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을 거라고 해요.  
하지만 공급이 충분히 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집값이 다시 오를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정부가 공급 확대와 함께 서민 주거안정 대책도 꼭 병행해주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결론

"집값 잡으려 대출을 줄였지만, 서민들의 내 집 마련 사다리는 더 높아졌다!"  
우리 모두 현명하게 준비해서, 내 집 마련의 꿈을 꼭 이루시길 바랍니다!

반응형